지난 2월부터 많은 사회초년생과 저소득 청년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정책금융상품이 있다. 소득이 적은 시기에 종잣돈을 모으기 아주 좋은 상품이라 동생에게도 추천하였다.
주식시장이 요동치고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고 있는 요즘 10% 가까운 고금리에 정부 기여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5월 신청기간을 놓치지 말고 신청하도록 하자.
그리고 5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할 때 이자는 어떻게 받는지, 자금 여력이 있는 사람은 일시납입도 가능한데 어떻게 되는건지 알아보자.
2025년 청년도약계좌
청년들을 위한 정책금융 상품인 이 적금은 결혼자금, 초기 투자금, 종잣돈을 모으기에 너무나도 좋은 상품이다.
- 만기 : 5년
- 납입한도 : 매월 최대 70만원
- 금리 : 약 10%
- 소득에 따라 정부기여금 상이
물론 본인의 급여 수준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적게는 21,000원부터 많게는 33,000원까지 받을 수 있는데 지원금액과 금리, 올해 변경사항, 가입조건(중위소득 250% 이하)들은 지난 글에 상세하게 작성해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금리 변경사항 총정리
저소득 청년들을 위한 국가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진행되고 있다. 2025년에는 한층 더 높은 금리를 주는 형식으로 바뀌어 많은 분들이 청년도약계좌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오늘
nomad-investor-binbong.com
여기서 5월 신청기간이 중요한 이유는 6월부터는 2024년 소득을 기준으로 신청을 받는데, 작년에 소득이 높아진 사람들은 가입이 어려울 수 있으니 꼭 아래 일정을 확인하고 신청하자.
※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 기간, 신청방법, 지원금액 총정리
중도해지
- 특별 중도해지 :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생애최초 주택구입, 혼인 및 출산
- 그외에는 3년 이상 유지한 청년 비과세, 기여금 지급
어떤 사유가 있어서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3년 이상 유지하면 적금 이자에 대해 비과세와 기여금을 지급하므로 우선 신청하고 매월 납입하는 것을 무조건 추천한다.
일시납입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유지한 사람들에 한해서 모아둔 종잣돈을 높은 금리의 적금인 청년도약계좌로 옮길 수 있도록 일시납입을 허용하는 제도도 마련되어있다.
- 일시납 금액 : 최소 200만원 ~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 월 설정액 : 40 ~ 70만원 중 하나
- 일시납입금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 지급
이렇게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한번에 아주 큰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처음부터 고금리의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상당히 좋은 것 같다.
5월 신청일정
가입 신청기간이 이번주 5월 16일까지기 때문에 빠르게 신청을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음주부터는 가입요건 확인과 1인가구 계좌개설 등이 예정되어있다.
오늘은 청년들에게 상당한 인기를 끌고있는 청년도약계좌 5월 신청일정과 중도해지, 일시납입 관련된 정보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청년희망적금과 함께 이용하면 혜택을 두 배로 받을 수 있어 상당히 좋은 투자수단이 될 수 있고, 무조건 주식이나 가상화폐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높은 금리의 채권 같은 적금에도 분산투자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재테크 > 금융정책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만에 돌려받는 세금 : 국세청 종합소득세 원클릭 세금환급 신청 (1) | 2025.05.09 |
---|---|
부산 자립청년 주거 다 지원 신청자격 기간 지원금액 총정리 (2) | 2025.05.07 |
2025 기준 중위소득 80% 100% 120% 150% + 소득별 복지혜택 (4) | 2025.05.06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 기간, 신청방법, 지원금액 총정리 (8) | 2025.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