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글에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과 기간, 신청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나라에서 주는 다양한 복지 혜택은 저소득층, 청년, 사회초년생을 위해 지급하기 때문에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신청자격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
오늘은 올해 내가 복지혜택을 받아볼 수 있을지 예측해보기 위해 2025 기준 중위소득 80% 100% 120% 150% 금액과 소득별 복지혜택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자.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결정하는 소득기준 금액으로 국민 전체 소득을 일렬로 세웠을 때 정확하게 가운데 있는 국민의 소득을 이야기한다.
기준 중위소득을 가지고 국가장학금,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월세지원, 교육급여, 생계급여 등 정말 다양한 복지혜택 신청 자격을 결정하기 때문에 매 년 금액을 확인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연도별 중위소득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가구 인원별 중위소득을 살펴보면 매년 6~8%정도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의 급여가 이정도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면 국민 평균 수준보다 급여상승률이 낮다고 볼 수 있겠다. 1인 가구 기준으로 연도별 중위소득 100%는 아래와 같다.
- 2021년 : 1,827,831원
- 2022년 : 1,944,812원
- 2023년 : 2,077,892원
- 2024년 : 2,228,445원
- 2025년 : 2,392,013원
2025 기준 중위소득
80% 100% 120% 150% 금액
2025년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60%, 80%, 100%, 120%, 150%, 180%, 200%까지 금액을 계산해보았다. %별로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이 상이하므로 확인해두는 것이 좋다.
우리가 많이 찾아보게 되는 청년 1인가구 기준 %별 금액은 다음과 같다.
- 60% : 1,435,208원
- 80% : 1,913,610원
- 100% : 2,392,013원
- 120% : 2,870,416원
- 150% : 3,588,020원
- 180% : 4,305,623원
- 200% : 4,784,026원
중위소득별 복지혜택
본인의 소득수준이 어느정도 금액대인지 확인했다면 어떤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소득 수준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정책금융 상품들은 다음과 같다.
- 50% : 교육급여
- 60% : 국민취업지원혜택
- 80% : 기저귀바우처, 의료급여, 직업훈련생계비
- 100% : 청년안심주택,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 120% : 청년국민취업지원, 가족돌봄청년, 행복주택 등
- 150% : 청년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장학금 지원
- 180% : 서울 전월세 이자지원, 청년도약계좌 등
- 200% : 국가장학금 1유형, 아이돌봄서비스 등
최근에는 복지정책 확대를 위해 소득기준을 완화하고 있는 정책들도 많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소득 기준은 매년 발표되는 공고문이나 안내장을 살펴보면 더 좋겠다.
복지, 정책금융 상품은 정부에서 찾아서 지급해주지 않고 우리가 직접 찾아서 혜택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정보가 상당히 중요하다. 보다 많은 정보들을 통해 도움이 될 수 있는 글을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재테크 > 금융정책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 기간, 신청방법, 지원금액 총정리 (6) | 2025.05.01 |
---|---|
두루누리 지원대상 지원금 조회 지급방식 신청방법 알아보자 (0) | 2025.04.13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금리 변경사항 총정리 (0) | 2025.02.07 |
ISA 연금저축 미국ETF 이중과세 논란 총정리와 대책 (0) | 2025.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