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을 지켜라, 부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확인방법

파이어족 빈봉 2025. 3. 15.

2022년 레고랜드 사태부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가 지속되고, 국내 경기까지 악화되면서 저축은행 부실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상위 기업인 상상인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도 금융감독원에서 적기시정조치를 받을 수 있다는 기사도 나오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두려움에 떨고 있는 것 같다.

 

상상인-페퍼-저축은행-적기시정조치

 

그렇지만 대중들은 금리가 인하되면서 조금이라도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저축은행 파킹통장, 예금을 찾아나서는 사람들이 많기도 하다.

 

오늘은 내가 열심히 모은 돈, 예금을 지키기 위해 부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확인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2011년 저축은행 줄도산 사태

많은 사람들이 2011년에 저축은행 30곳이 불법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로 인해서 영업정지되었던 사건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물론 당시 해당 사건의 시작은 불법적 대출이었지만, 결국은 부실채권(NPL)이 많아지면서 저축은행이 버티지 못하는 상황까지 갔기 때문이다.

 

경제 분야에서 유명한 홍춘옥 대표도 저축은행 문제에 대해서 작년부터 이야기했던 글이 있어 공유한다.

 

 

가계 부채 터지면, 부동산은? feat. 연체율, 고정이하여신, 하우스푸어, 카드위기, 저축은행사태,

안녕하세요~ 31년차 이코노미스트 홍춘욱입니다. 최근에는 CMA/IRP/ISA/연금저축 계좌를 대상으로...

blog.naver.com

 

금융감독원 저축은행 평가기준

은행권은 BIS비율, 보험권은 지급여력비율 등 부실 자산 대비 자기자본을 어느정도 보유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금융당국에서 저축은행 부실이 예측되면 내리는 적기시정조치 기준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경영개선권고 : BIS비율 5% 미만, 자본적정성 부문 4등급 이하
  • 경영개선요구 : BIS비율 3% 미만, 종합등급 4등급 이하
  • 경영개선명령 : BIS비율 1% 미만

 

적기시정조치 명령이 발동되면 최종적으로 임원 교체 및 합병, 영업 정지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예금이나 파킹통장을 개설한 곳이 기사에 나온다면 예금자보호 한도 이내 금액인지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확인방법

최근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호공사에서 저축은행들의 건전성 지표를 일 단위로 점검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그만큼 경기 침체, PF 부실로 인한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고 있다는 이야기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이렇게 안국저축은행은 예금 한도까지 걸면서 어렵게 버티고 있는 모습인 걸로 보인다.

 

저축은행-부실-기사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살펴볼 수 있을까?

 

아래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에서 '금융회사 정보' - '저축은행'을 클릭하면 간략한 경영지표, 재무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fine.fss.or.kr

 

BIS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

 

현재 발표된 자료는 2024년 9월 데이터가 가장 최신이지만, BIS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BIS비율은 최소 10% 이상, 고정이하여신비율은 8% 이하인 저축은행에 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추천한다.

 

저축은행-경영지표-재무정보

 

 

자기자본 < 당기순손실

이 뿐만 아니라 한 가지 더 확인해본다면 총자산 또는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이익도 좋은 건전성 지표가 될 수 있다.

 

당기순이익에는 대손충당금(부실대출 보전을 위한 충당금)까지 마이너스로 잡혀서 오류가 있을 수 있지만, 대손충당을 많이 쌓았다는 것 자체가 부실여신이 많다는 반증이기 때문이다.

 

솔브레인저축은행을 예로 들어보면 자기자본보다 2024년 9월까지 당기순손실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본잠식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재무지표라고 볼 수 있겠다.

 

 

정리

오늘은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들의 부실을 예측해볼 수 있는 건전성 지표 확인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똑똑한 투자자라고 하더라도 저축은행이 부실해져서 돈을 돌려받지 못하면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받을 수 있으니 꼭 참고하기 바란다.

 

저축은행-건전성-지표-확인방법

 

[재테크 투자 관련 모든 정보 총정리 가이드북]

재테크 주식 투자 방법 가이드북 : 투자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