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율이 OECD 평균 최상위권인 한국 사람들의 가장 큰 걱정 중 하나는 노후준비일 것이다.
게다가 최근 국민연금 개정이 이뤄지면서 젊은 청년, 사회초년생이 미래에 받을 수 있는 연금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은 상태다. 우리에게 노후준비를 위한 퇴직연금, IRP 그리고 재테크는 피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오늘은 나무증권 어플을 통해 2030 직장인들의 노후준비를 위한 퇴직연금, IRP 연금 예상수령액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나무증권 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연금준비진단 메뉴 클릭
NH투자증권 나무증권을 다운받아 로그인했다면 메뉴버튼을 클릭하여 '연금준비진단' 메뉴를 찾아서 들어가면 된다.
연금진단, 계획 수립
메뉴로 들어오면 현재 본인의 연금자산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예상 연금수령액을 볼 수 있다.
그 이후 화면 상단에 '연금 준비 계획 입력하여 진단해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본인의 연금 투자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 개시연령 입력
첫번째로 본인이 연금을 수령하고자 하는 나이를 입력하게 되는데 나는 60세부터 100세까지 수령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그 다음으로는 국민연금 개시 나이를 설정하면 되는데, 65세로 설정해보았다.
퇴직연금 IRP 연 납입액, 납입연수 입력
다음으로는 본인이 매년 퇴직연금펀드 또는 IRP 계좌에 납입할 금액을 입력하면 되는데 나는 세액공제 혜택 최대치인 900만원으로 설정했다.
그 다음으로 직장을 앞으로 20년 다닌다고 가정하고 20년을 입력했다.
이 때 너무 많은 금액을 연금저축 또는 IRP에 넣으면 추후 주택 구매 등에 큰 돈이 필요할 때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아래 글을 참고하여 계좌를 쪼개는게 좋다.
나무증권 IRP 퇴직연금저축 중도해지 방법, 세금과 예상수령액 조회
지난번 글에서 주택을 구매하거나 자금이 필요할 때 IRP계좌와 퇴직연금저축 계좌 중도해지, 중도인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랜 기간동안 쌓아온 노후 자금을 인출할 수 있지만, 세금을 공제
nomad-investor-binbong.com
연금 기대수익률, 퇴직금 입력
다음으로 본인이 납입한 퇴직연금의 기대수익률을 입력하는데 나는 공격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므로 5.5%를 입력해보았다. 본인이 투자에 관심이 많고, 잘한다면 6% 이상을 입력해도 좋다.
그 다음으로는 현재 직장을 다닌다면 받게 될 퇴직금도 연금에 입금하는 것까지 가정할 수 있는데, 나는 0원으로 입력했다.
은퇴시점 연금자산 계산 완료
마지막으로 연금 희망수령액까지 작성하는데 현재 평균 1인 생활비를 300만원 정도로 잡고 계산을 해보려고 한다.
위에서 내가 작성한대로 은퇴시점까지 납입하고 5.5% 수익을 낸다면, 60세부터 40년간 매월 345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정리
오늘은 NH투자증권 나무증권 어플을 통해서 본인이 노후에 수령하고자 하는 연금수령액을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인당 노후 생활비로 사용하기 위해서 300만원 이상은 있어야한다고 하는데, 오늘 계산한 345만원 외에도 미국 배당 ETF SCHD로부터 받는 배당금까지 포함하면 충분히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꾸준히 본인의 예상 연금수령액을 계산해보고, 투자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시뮬레이션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재테크 투자 관련 모든 정보 총정리 가이드북]
'재테크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추천 투자방법 : 공모주 청약 일정 정보 총정리 앱 피너츠 (0) | 2025.03.25 |
---|---|
예금을 지켜라, 부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확인방법 (3) | 2025.03.15 |
경제용어 YoY QoQ MoM YTD MDD 뜻 예시 (3) | 2025.03.09 |
급등하는 VIX지수 투자 활용방법, ETF (7) | 2025.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