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증권 IRP 퇴직연금저축 중도해지 방법, 세금과 예상수령액 조회

파이어족 빈봉 2025. 3. 14.

지난번 글에서 주택을 구매하거나 자금이 필요할 때 IRP계좌와 퇴직연금저축 계좌 중도해지, 중도인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랜 기간동안 쌓아온 노후 자금을 인출할 수 있지만, 세금을 공제하고 받는다는게 아쉬운 점이었다.

 

오늘은 그럼에도 자금을 인출해야하는 분들을 위해서 나무증권 IRP 퇴직연금저축 중도해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세금과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까지 살펴보려고 한다.

 

 

노후를 위한 퇴직연금, IRP

노후를 위한 자금인 퇴직연금과 IRP 자금을 꾸준히 모아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알고 있을 것이다.

 

절세 효과와 수익에 대한 과세이연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복리의 마법을 실천할 수 있는 꼭 필요한 계좌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왔다면 어쩔 수 없이 중도해지를 해야할 것이다. 그러면 지금부터 퇴직연금계좌와 IRP 중도해지 방법과 주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IRP 연금저축 중도해지 중도인출 인정사유 세금 차이점

최근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르면서 무주택자가 집을 사거나, 개인 사업이 어려워지면서 노후를 위한 계좌인 IRP, 연금저축 중도해지 중도인출에 대한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 법적으로 인정할만

nomad-investor-binbong.com

 

 

 

나무증권 퇴직연금 중도해지 방법

1. 먼저 NH투자증권 나무증권 어플에 접속하여 메뉴로 들어간 다음, '연금저축 해지' 메뉴를 검색한다.

 

6-연금저축-해지-메뉴

 

 

2. '연금저축 해지신청'에 들어왔다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나무증권 연금저축계좌가 모두 보일 것이다.

 

이 때 본인이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가지고 있는 주식 또는 ETF 잔고가 남아있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보유상품 매도 후 해지 가능'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만약 연금저축펀드 계좌 해지를 원한다면 3일 전에 매도해두어야 한다.

 

그리고 아래에 보면 '세후 해지가능금액'을 볼 수 있는데, 퇴직연금저축 계좌를 해지하면 받을 수 있는 예상수령액이라고 보면 된다.

 

7-연금저축-해지-계좌선택

 

 

3. '계약해지'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그림처럼 소득세, 주민세가 나오고 세금 공제 후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퇴직연금 계좌를 중도해지 신청은 평일 9시부터 16시 사이에 가능하니 참고하자.

 

8-연금저축-해지-신청

 

 

나무증권 IRP 중도해지 방법

1. 메뉴 - 퇴직연금 - IRP 해지 메뉴를 검색하여 클릭한다.

 

1-IRP-해지-메뉴

 

2. IRP 계좌를 해지하면 받을 수 있는 예상수령액을 조회하기 위해 '예상 수령액 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2-IRP-납입가능금액

 

 

3. 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퇴직금으로 받은 퇴직소득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보기를 클릭하면 예상세액과 예상수령액을 알 수 있다.

 

3-IRP-예상-세금-조회

 

 

4. 그 다음 예상세액을 확인할 수 있는데, 예상퇴직소득세와 예상기타소득세를 제외한 IRP 해지 환급금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예상수령액은 법적으로 인정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고, 그냥 해지하는 경우에 세금을 공제하고 받는 금액을 이야기한다.

 

장기 요양비용과 같이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아래 금액과 다르게 나오는데, 사유를 작성하는 것은 다음 과정에서 진행할 수 있다.

 

4-IRP-예상-실수령액-조회

 

 

5. 다시 IRP 해지 화면으로 돌아가서 아래로 스크롤하면 IRP 해지 사유를 선택할 수 있고, 환급받을 은행 계좌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요청 외에 요양 비용 등 법적 인정 사유를 선택하고 입증 서류를 제출하면 저율로 IRP를 해지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5-IRP-해지사유-계좌번호

 

 

증권사별 고객센터 번호

NH투자증권 나무증권 외에도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다양한 증권사도 유사한 방식을 통해 퇴직연금과 IRP 계좌를 해지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과정이 어렵다면 아래 고객센터로 문의하여 해지 또는 중도인출 절차를 하면 된다.

 

  • NH투자증권 : 1544-0000
  • 삼성증권 : 1588-2323
  • 키움증권 : 1544-9000
  • 미래에셋증권 : 1588-6800
  • 한국투자증권 : 1544-5000
  • KB증권 : 1588-6611
  • 신한투자증권 : 1588-0365
  • 대신증권 : 1588-4488
  • DB금융투자 : 1588-4200
  • 한화투자증권 : 080-851-8282
  • 유안타증권 : 1588-2600
  • 유진투자증권 : 1588-6300
  • 하나증권 : 1588-3111

 

정리

오늘은 노후 자금을 만들기 위해 저축하는 나무증권 IRP 퇴직연금 계좌 중도해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각자의 사정으로 인해 노후 준비 계좌를 해지하더라도 꾸준히 자금을 모아나가서 결국엔 여유로운 삶을 살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NH투자증권-NH나무증권-IRP-연금저축-중도해지방법-세금-예상수령액

 

[재테크 투자 관련 모든 정보 총정리 가이드북]

재테크 주식 투자 방법 가이드북 : 투자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