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투자 일지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환급금 많이 받아 재투자하기

파이어족 빈봉 2025. 2. 25.

지난 2월 21일에는 월급과 함께 연말정산 환급금이 들어왔다. 동기나 지인들 중에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는 사람은 없었지만, 돌려받는 금액은 천차만별이었다.

 

그 중에서 나는 결혼을 하거나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등록한 지인 외에 가장 많은 연말정산 환급금을 받을 수 있었다. 오늘은 약 360만원 정도의 연말정산 환급금을 많이 받을 수 있었던 방법과 재투자에 대해서 공유해보고자 한다.

 

연말정산-환급금-계산내역

 

 

연말정산 환급금도 내 연봉

연말정산 환급금을 많이 받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전에 연말정산 환급금도 원래 내 연봉에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우선이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많은 환급금을 받아도 본인이 평소 사고 싶었던 물건이나 여행 등 지출로 이어지기에 딱 좋기 때문이다.

 

환급금 재투자는 필수

나는 매년 연말정산으로 돌려받은 금액의 5~10%만 제외하고 전액을 연금저축펀드에 입금하는 방식으로 일명 '세액공제 돌려막기'를 하곤 했다.

 

연금저축계좌를 이용하여 절세하여 받은 자금을 연금저축펀드에 입금하면 내년에도 그만큼 세액공제 혜택을 받아 꾸준히 복리로 성장하는 자산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혹시 여러분도 어떤 자산에 환급금으로 받은 목돈을 넣어야할지 고민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보기 바란다.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점, 필요성(Feat. 세액공제)

사회초년생, 직장인분들은 월급을 받고나서부터 세금을 줄이기 위한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직장을 다니기 시작한 사회초년생분들이 꼭 들어야할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nomad-investor-binbong.com

 

 

연말정산 환급 많이 받는 법

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 방법들이지만,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2025년 연말정산을 준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1. 신용카드 체크카드 사용금액 분배

본인 연봉의 25% 초과하여 사용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금액부터 소득공제가 적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지출을 한다면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이 좋다.

 

  • 월급 25%까지 : 신용카드 사용(실적 쌓고 혜택 받기)
  • 월급 25% 초과분: 체크카드 또는 현금영수증

 

이 때 신용카드는 피킹률이 높은 것을 고르는 것도 좋지만, 본인 생활패턴이나 습관에 맞는 것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주로 통신비 할인혜택이 있는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2. 월세 세액공제, 소득공제 신청

월세로 거주하고 있는 사회초년생, 직장인, 신혼부부라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해당 내용은 아래 글에 자세히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또한 급여가 높거나 유주택자라 세액공제를 받지 못하더라도 납부한 월세를 증빙하여 소득공제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기 바란다.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금액 신청방법 필요서류

직장인 13월의 월급이라고도 불리는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고 있다. 월세로 거주하고 있는 직장인에게는 월세 세액공제가 연말정산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곤 한다. 오늘은 연말정산에서

nomad-investor-binbong.com

 

3. 절세계좌(연금저축, IRP) 납입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연금저축과 IRP에 최대 900만원까지 납부하면 해당 금액의 16.5%, 최대 148만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 중에 가장 큰 금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여유롭다면 연금저축펀드나 IRP부터 납입하기를 추천한다.

 

4. 그 밖의 연말정산 꿀팁

이미 많은 사회초년생들이 연말정산을 어떻게 하면 좋은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추가적으로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기 바란다.

 

 

2023년 연말정산 환급 많이 받는 방법 (절세 꿀팁, 세액공제)

2023년도 마무리되어 가면서 연말정산을 미리 챙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024년 초에 13월의 월급을 받게 될지, 돈을 뱉어낼지는 올해 안에 연말정산 환급을 받기 위한 준비를 해둬야

nomad-investor-binbong.com

 

결론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바로 연말정산 환급금 많이 받는 법이 아니라 재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차근차근 자산이 쌓여가는 재미를 느끼다보면 언젠가 조금 더 여유롭게 지낼 수 있지 않을까. 오늘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13월-월급-연말정산-환급금-많이-받는법-재투자

 

[재테크 투자 관련 모든 정보 총정리 가이드북]

재테크 주식 투자 방법 가이드북 : 투자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재테크 > 투자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5/21] 투자 현황  (0) 2021.05.21
[21/4/12] 투자 현황  (8) 2021.04.12
[21/3/18] 주식 투자 현황  (10) 2021.03.18
[21/3/5] 주식 현황  (2) 2021.03.05

댓글